서버 성능 측정을 위해 sar를 열심히 찾아보다가 ksar 라는 것을 발견했다.
sar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 주는 프로그램인데 사용법을 알아두면 유용할 것 같아 정리해 둔다.
일단 홈페이지는 여기.
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s/ksar/
다운 받아 압축을 풀어보면 몇개의 폴더와 파일이 나오는데 윈도우에서 실행하려면 그 중 kSar.jar 파일을 실행하면 된다.
ssh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서버에서 데이터를 만들어 결과 파일을 import 할 수도 있다.
물론 서버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지만 운영서버에 그러고 싶지는 않아서-_-; 선택한 방법은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kSar 프로그램에 import.
아래 내용은 Solaris10 기준이다.
/usr/lib/sa/sa1 를 입력하면 /var/adm/sa 경로에 sa[dd] 파일이 생성된다.
[dd]는 해당 날짜를 의미한다.
sa[dd] 파일은 이진파일이어서 vi 등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다.
sar -A -f sa[dd] > output 커맨드를 이용해서 sa[dd]의 데이터를 text로 output 파일에 기록한다
생성된 output 파일을 ftp 등으로 kSar 프로그램이 설치된 PC로 옮기고 Data -> Load from text file 메뉴를 선택하여 output 파일을 import 한다.
/usr/lib/sa/sa1 커맨드를 한 번만 실행한 데이터를 output 파일로 만드니 output 파일에는 데이터가 포함되어있지 않은 것 처럼 보였다.
/usr/lib/sa/sa1 커맨드를 한 번 더 실행하고 output 파일을 생성하자 데이터가 보이기 시작했다.
원인은 정확히 모르겠지만 일단 무시하고...
/usr/lib/sa/sa1 커맨드를 여러번 실행하면 실행 한 횟수만큼의 데이터가 sa[dd] 파일에 누적됨을 확인했다.
cron을 이용하여 /usr/lib/sa/sa1 을 5분마다 실행되도록 설정했다.
0,5,10,15,20,25,30,35,40,45,50,55 * 20 9 * /usr/lib/sa/sa1
일단 테스트를위해 9월 20일에만 동작하도록 설정.
생성된 데이터를 kSar에서 확인해보니 그래프가 잘 나온다.
그래프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계속 sar에 대해 공부가 필요할 듯 하다.
몇 일 테스트 해보고 이상이 없으면 output 파일을 만들고 ftp로 local로 전송하는 script와 sa[dd] 파일도 누적되어 디스크가 full 이 되지않도록 주기적으로 삭제하는 script를 만들어야겠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